당뇨 환자 4억명…세계는 단맛과 전쟁중_단어 의미 슬롯_krvip

당뇨 환자 4억명…세계는 단맛과 전쟁중_기업가 빙고_krvip

전 세계적으로 지난 2014년 현재 당뇨병에 걸린 사람 수가 4억 2천만 명에 이른다고 세계보건기구(WHO)가 밝혔다. 이는 1980년 이후 거의 4배나 늘어난 수치이다.

WHO는 6일 세계보건의 날을 앞두고 처음 발표한 `세계 당뇨병에 관한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히면서 당뇨 환자가 급격하게 증가하게 된 원인은 표준을 넘어서는 체중과 비만 등이며 대부분 환자가 개발도상국에서 살고 있다고 밝혔다.

WHO는 세계적으로 당뇨병 확산 속도가 매우 빠르고 상황이 갈수록 악화되고 있는 만큼 시급한 대책 마련을 각국에 촉구했다.



    마거릿 첸 WHO 사무총장 발표 전문

WHO는 보고서에서 지난 2014년 현재 18세 이상 성인 3명 중 1명 이상이 표준 체중을 넘어섰고, 10명 중 1명은 비만인 것으로 조사됐다면서 당뇨병 증가는 특히 개도국에 보건은 물론 사회경제적 충격을 주고 있다고 지적했다.

높은 혈당 수치로 심혈관계 질병의 위험을 높이는 당뇨로 지난 2012년 370만 명이 숨졌고, 사망자의 43%가 70세 미만인 것으로 조사됐다고 이 보고서는 설명했다.

"당뇨는 심각한 합병증 유발"

당뇨 합병증은 심장질환, 뇌졸중, 신장 이상, 하지 절단 등으로 연결되며 당뇨 환자의 하지 절단 비율은 일반인보다 10~20배 높다고 이 보고서는 밝혔다.



마거릿 챈 WHO 사무총장은 "당뇨병 증가를 막으려면 건강한 식사를 하고 운동량을 늘리면서 체중이 과도하게 늘어나는 것을 피하는 등 일상생활을 바꿔야 한다"면서 "정부도 국민이 건강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당뇨 진단과 치료를 할 수 있는 보건체계를 갖춰야 한다"고 말했다.

WHO 에티엔 크루그 박사는 "인슐린 호르몬이 발견된 지 100년이 됐지만, 아직도 가난한 나라의 3분의 1만이 인슐린 등 치료제를 이용할 수 있다"면서 "인슐린에 대한 접근은 당뇨병 환자에게는 죽느냐 사느냐의 문제여서 인슐린 등에 대한 접근도를 높이는 것이 최우선으로 추진돼야 한다"고 말했다.

[다운로드] ☞ WHO 당뇨병 보고서 [PDF]



지금 세계는 단맛과의 전쟁 중

당뇨를 유발하는 비만과 과체중의 중요 원인의 하나로 꼽히는게 설탕이다. 설탕은 우리의 몸이 힘들 때 안정을 되찾아주는 중요한 에너지원임이 틀림없지만, 과다 섭취는 만병의 근원이 된다고 의학계는 꾸준히 제기해왔다.

WHO는 지난해 3월 성인과 어린이가 현재 매일 섭취하는 설탕 성분의 10% 정도를 줄이라는 권고안을 제시했다.

그래서 세계 곳곳에서는 설탕 섭취를 줄이기 위한 '단맛과의 전쟁'이 벌어지고 있다.

    설탕의 유해성을 설명하는 호주 공익광고

영국은 지난 3월 설탕 세를 도입하겠다는 계획을 전격으로 발표했다. 조지 오스본 영국 재무장관은 지난 3월 중순 2016년~2017년 회계연도 예산안을 발표하면서 "30년 안에 남자 아동들의 절반이, 여자 아동들의 70%가 과체중 또는 비만에 빠질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전망"이라며 설탕세 부과 이유를 설명했다.

오스본은 설탕세 도입으로 5억 2천만 파운드를 거둘 것이라며 이 재원을 중고등학교가 스포츠 등 방과 후 학교를 운영하는 데 투입할 것이라고 밝혔다.

계획에 따르면 음료 100㎖당 설탕 5g이 함유된 음료는 1ℓ당 18펜스(약 300원)가 부과된다. 설탕이 35g 든 코카콜라 캔(330㎖) 1개에 133원의 설탕세가 매겨지는 셈이다.

탄산음료에 설탕세를 매기는 이유

설탕을 함유한 음식은 많은데 왜 영국은 하필 청량음료에 세금을 '설탕세'를 매기려고 할까?

영국 방송 BBC는 대표적인 설탕 더미 음식 초콜릿이 아닌 탄산음료에 세금을 매기는 이유를 네 가지로 정리했다.

● 초콜릿이나 케이크와 달리 탄산음료는 사람들이 일상적으로 자주 마시는 음료다.

● 몇몇 음료는 지나치게 많은 설탕을 함유하고 있어 한 캔만 마셔도 WHO의 하루 권장 설탕 섭취량 25g을 넘어선다.

●탄산음료에는 다른 영양소가 없어 설탕과 함께 먹을 만큼 유용하지 않다.

● 어린이들이 일상적으로 찾는 음식이기에 아동 비만과 직결된다.



2013년 멕시코는 설탕이 든 음료수에 세금을 부과해 음료 매출이 12% 정도 감소했다.

미국은 어떨까? 2009년부터 주별로 설탕세 도입을 위한 주민투표가 꾸준히 시행되고 있지만 그리 큰 성과를 내지는 못하고 있다.

미국은 대신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자판기에서 열량, 당 등 영양 성분에 따라 진열 칸을 빨강·노랑·녹색으로 구분해 음료를 배치하고 있다. '당류 자율표시제' 이후 빨강 칸의 음료 매출이 꾸준히 줄어들고 있다고 한다.

이에 더해 미국식품의약국(FDA)은 지난해 7월 모든 식품에 첨가당 표시를 의무화하겠다는 계획을 내놓은 바 있다.

첨가당은 식품이 생산되기 전에 이미 들어있는 당분 외에 단맛을 내기 위해 추가로 첨가하는 설탕으로 오래전부터 심혈관 질환과 비만 위험 요인으로 지목돼 왔다.

"설탕세는 역진세"...반발도 제기

그러나 '단맛과의 전쟁'을 벌이고 있는 각국의 노력에 대한 반발도 만만치 않다.

첨가당 표시 의무화 도입 방침 발표 이후 미국 설탕 협회, 음료 협회, 옥수수 정제협회 등 관련 업계에는 '제한된 과학적 증거'에 근거한 부당한 조치라고 강력 반발했다.

업계 반발이야 그렇다 치더라도 각국 정부를 더욱 곤혹스럽게 하는 것 소비자 단체들이다.

일부 소비자 단체들은 설탕세가 도입되면 음료 제조사가 가격 인상, 용기 축소 등의 방식으로 세금 부담을 소비자에게 떠넘겨 피해를 보게 될 것이라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소비자 단체들은 탄산음료가 주로 가난한 사람들이 먹는 음식인데 가난한 사람들이 세금을 더 내야 하는 '역진세'가 발생한다고 주장한다.

[연관 기사]☞ 담배보다 심각한 ‘설탕 중독’